2025/04/03 2

도메인 서비스 - DDD의 적용, JPA 엔티티와의 비교

도메인 서비스란?서로 다른 애그리거트간, 협력을 중재하는 객체이다.보통 싱글톤으로, Pure Fabrication 형태를 띄며 정의된다.도메인 서비스의 개념 자체는 매우 단순하다.우리가 쉽게 만들어 쓰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도메인 서비스, 그럼 스프링 빈으로 사용해도 되나?가능하다.스프링의 빈(Bean) 관리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싱글톤 객체로 등록해두면 편리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다만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서비스 레이어)와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단순히 스프링 빈으로 등록했다고 해서 인프라 계층 로직을 무조건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그럼 도메인 서비스가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생성되는데, 인프라 로직에 종속된거 아닌가?실제 인프라 로직은, 선언한 빈을 통해 바이트 코드로 구..

HTTP 커넥션 관리 최적화 기법

본 내용은 "HTTP 완벽 가이드" 내용을 참고하여 기록한 정리본입니다.사전지식: 커넥션 헤더의 오해커넥션 헤더의 내용두 개의 인접한 HTTP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현재 맺고 있는 커넥션”에만 적용할 옵션을 지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헤더.예를 들어, 특정한 임시 헤더(meter)나 비표준 옵션(bill-my-credit-card), 연결 종료(close)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meter 같은 헤더는 다른 커넥션으로 전달되면 안 된다.bill-my-credit-card와 같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트랜잭션이 끝나면 커넥션을 끊겠다는 의사를 close로 밝힐 수 있다.커넥션 헤더의 동작 방식HTTP 헤더 필드 명“이 커넥션에만” 해당되는 헤더 이름을 지정한다. 예: Connection: m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