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공부하는 TCP/IP 구조 도서를 참고하였습니다.
전송계층의 핵심은 포트 번호이다.
받은 IP 패킷을, 어느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포트 번호이다.
포트 번호는 0번부터 65535번까지 있으며,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지금부터 각 포트 번호의 종류와 사용처에 대해 알아보자.
- 포트번호의 종류
- 수신지 포트 번호에 사용
- System Ports
- 0~1023
- User Ports
- 1024~49151
- System Ports
- 송신지 포트 번호에 사용
- Dynamic and/or Private Ports
- 49152~65535
- Dynamic and/or Private Ports
- 수신지 포트 번호에 사용
- 참고)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
시스템 포트
- 0~1023
- 주로 수신 시 사용하는 포트 번호 대역이다.
- 웰 노운 포트(Well-known Ports) 라고도 불린다.
- IANA가 관리한다.
- 포트 + 전송 프로토콜별로 유일한 애플리케이션이 묶여있다.
- 주요 System Ports
포트 번호 | UDP | TCP |
---|---|---|
20 | – | FTP(데이터) |
21 | – | FTP(제어) |
22 | – | SSH |
23 | – | Telnet |
25 | – | SMTP |
53 | DNS(이름 결정) | DNS(이름 결정, 존 전송) |
69 | TFTP | – |
80 | – | HTTP |
110 | – | POP3 |
123 | NTP | – |
443 | HTTPS(QUIC) | HTTPS |
587 | – | 서브미션 포트 |
사용자 포트
- 1024~49151
- 주로 수신 시 사용하는 포트 번호 대역이다.
- 송신용으로 사용할수도 있다.
- IANA가 관리한다.
- 포트 + 전송 프로토콜별로 제조사가 개발한 독자 서버 애플리케이션에 묶여있다.
- 주요 User Ports
포트 번호 | UDP | TCP |
---|---|---|
1433 | – | Microsoft SQL Server |
1521 | – | Oracle SQL Net Listener |
1985 | Cisco HSRP | – |
3306 | – | MySQL Database System |
3389 | – | Microsoft Remote Desktop Protocol |
4789 | VXLAN | – |
8080 | – | Apache Tomcat |
10050 | Zabbix‑Agent | Zabbix‑Agent |
10051 | Zabbix‑Trapper | Zabbix‑Trapper |
Dynamic and/or Private Ports
- 49152~65535
- 주로 송신 시 사용하는 포트 번호이다.
- IANA에 의해 관리되지 않는, 송신지 포트 번호로 무작위로 할당되는 포트 번호 대역이다.
참고) 전송 계층의 멀티플렉싱 & 디멀티플렉싱
- 전송 계층의 다양한 포트에서 네트워크 계층으로 세그먼트/데이터그램을 전달하는 것을 "멀티플렉싱"이라고 하고,
- 전송 계층의 특정 포트(1)로 도착한 데이터를 해당 연결 정보를 가진 올바른 소켓(N)으로 전달하는 것을 "디멀티플렉싱"이라고 한다.
- HTTP/2.0의 멀티플렉싱과는 다른 개념이니 주의하도록 하자!
'CS > 네트워크 - Top-down Approach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란? 그리고 TCP 패킷의 형태, Selective ACK(SACK) (0) | 2025.04.18 |
---|---|
UDP (0) | 2025.04.18 |
NAT (0) | 2025.04.17 |
IP 주소 할당 방법 - 정적 할당, 동적 할당(DHCP) (0) | 2025.04.17 |
IP 라우팅 (0) | 2025.04.17 |